워드프레스는 2003년 매트뮬렌웨그(Matt Mullenweg)가 만들었고, 초기에는 블로그 형태를 제작하는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다양한 테마를 활용해서 중대형 규모의 홈페이지를 제작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CMS(Content Manage System) 프로그램입니다. 국내에서도 2012년 서울시 홈페이지가 워드프레스로 제작하면서부터 대중적으로 알려지기 시작했고, 국내 도입 초기에는 블로그, 포트폴리오, 간단한 회사홈페이지 제작 수준이었지만, 이제는 대기업, 공공기관, 상장기업 등 다양한 홈페이지 제작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워드프레스 기술이 향상되어서 테마자체 제작 기술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가 전 세계적으로 대중화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가 분리되어 분리된 텍스트가 구글 등의 검색엔진에 노출이 잘되고, 모바일 반응형 웹사이트로 모든 모바일 기기, 태블릿은 기본이고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호환성이 뛰어납니다. 또한, 기본 기능만 알면 누구나 쉽게 홈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홈페이지의 약 4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그림 – 워드프레스 최신점유율 그래프 (wordpress에 네모박스) >
출처 : https://w3techs.com/technologies/history_overview/content_management/all
위 표를 보면 워드프레스 점유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18년 3월부터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 상당히 광고를 많이 하고 있는 Wix(윅스)의 경우에는 전 세계 점유율이 2.4% 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는 Wix 를 비롯 국내외 타 CMS 프로그램의 경우 무료로 사용 시 광고가 따라다니며, 유료 사용 시에도 쇼핑몰, 커스터마이징, 다양한 플러그인 적용 등에 제한이 있고, 특히, 웹호스팅 비용을 포함, 정기적으로 들어가는 비용 등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최근에는 Wix 와 유사한 국내외 CMS 홈페이지 제작툴로 구축한 사이트를 워드프레스로 전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워드프레스의 종류
워드프레스는 2개의 공식사이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가입형 서비스인 “Wordpress.com” 두 번째는 설치형 서비스인 “wordpress.org”가 있습니다.
여기서, 여러분들은 고민할 필요 없이 그냥 설치형 워드프레스 서비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그 이유는 가입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wordpress.com은 단순한 블로그를 운영할 사람에게는 쉽다고 판단할 수도 있지만, 추가서비스나 호스팅 등이 모두 귀속되기 때문에 앞 페이지에서 설명한 Wix와 비슷한 정기ㆍ비정기적으로 결제를 해야만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입니다.
워드프레스의 가장 큰 매력인 자신이 원하는 테마와, 플러그인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국내 워드프레스 유저들의 대부분은 가입형 보다는 설치형을 사용해서 홈페이지를 개설하고 운영하고 있습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 공식사이트
이제 우리가 실제로 제작할 설치형 워드프레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WordPress.org에 접속해서 워드프레스 설치파일을 다운받은 후 이를 웹 호스팅이나 서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설치형 워드프레스의 가장 큰 장점은 확장성입니다. ThemeForest(테마포레스트)같은 테마 마켓에서 원하는 테마를 직접 골라서 설치할 수 있으며, 원하는 플러그인을 마음대로 설치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홈페이지를 자신이 원하는 스타일의 홈페이지를 마음대로 선택 가능하고, 다양한 스타일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합니다. 또한, 홈페이지의 모든 권한과 콘텐츠는 자신의 소유가 됩니다. 따라서 여러분이 워드프레스로 홈페이지 제작을 원하면 설치형 워드프레스를 사용해야 합니다.